티스토리 뷰
직립보행이 가져다 준 척추의 고통,척추에 문제가 생기면 우리몸 전체가 무너진다. 최근에는 컴퓨터와 스마트폰에 과도한 사용으로 목디스크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오직 직립보행 하는 인간에서만 나타나는 질병 척추질환, 심하면 신체 마비까지 부르는 목디스크에 대하여 알아보며 평상시 목디스크를 예방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본다.
목은 7개의 뼈로 구성되어 있다. 목과 목사이에 있는 연골이 튀어나온 것을 목디스크라고 한다. 목디스크는 크게 2가지로 구성된다. 외벽에 섬유륜이라는 것이 있고 디스크 안에 있는 수핵이다. 수핵이 섬유륜 뒤쪽으로 탈출해 신경을 누르는 경우를 목디스크라고 애기하는데 , 일명 추간판 탈출증, 수핵탈출증이라고 한다. 살이 너무 많이 찔 경우, 전체적으로 몸의 부담이 커지고 몸 근육에도 부담이 된다. 살이 찌면 몸의 곡선, 특히 척추의 곡선이 바뀌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디스크의 압력도 올라가고 퇴행성 변이를 일으킨다. 그렇다고 너무 심한 다이어트를 하게 될 경우 다이어트 때문에 필수영양분 섭취가 잘 안될수 있다. 그런 경우 인대, 근육, 관절의 기능이 떨어지고 성장을 저하하게 된다. 여러가지 이유로 최근 목디스크 환자들이 급증하고 있다. 목디스크 라고 해서 수술이 꼭 필요한것은 아니다. 질환에 따라 수술없이 일상생활을 하면서 통증원인을 찾아 여러가지 방법으로 치료를 하게 되는데, 통증을 유발하는 신경에 약제를 투여하는 신경차단술도 최근에 많이 사용되는 치료법이다. 급성 통증을 효과적으로 없애는 좋은 치료방법 중 하나인데, 치료를 여러번 했는데도 통증, 저림, 마비가 있다면 수술까지 고민해야 한다. 척추는 우리 몸에 중심을 잡는 중요한 기관이다 보니 수술에 대한 부담감이 크다. 그렇다 보니 디스크 수술은 후유증이 많을 거라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다. 목디스크는 근육이 많지 않다. 기도, 식도, 대동맥, 경동맥 같은 것이 많기 때문에 수술 위험성이 허리디스크보다 높다. 수술기술도 고난도이다. 하지만 수술을 잘하고 수술해야 할 부위, 수술해야할 환자에게 하게 될 경우 허리디스크 수술보다 훨씬 경과가 좋고 수술한 줄 모를정도로 상태가 좋아진다. 흔히 목 척추에 문제가 생길경우 목뼈에 통증이 느낄거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으나, 실제로는 저린증상이 많다. 목부분이 뻣뻣하게 느껴지거나 팔저림 증상이 있다면 병원을 찾아 MRI 촬영을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는것이 중요하다. 경미한 목디스큰 바른 자세교정과 스트레칭으로 치료가능하다. 평소 할수 있는 목디스크 예방법에는 허리를 반듯이 펴고 앉은 자세에서 오른손을 이마에 대고 앞쪽으로 5초간 밀어준다. 그리고 다음으로는 뒤통수에 깍지를 낀 상태에서 앞쪽을 향해 5초간 밀어준다. 머리 왼쪽과 오른쪽에서 같은 방법으로 5초간 천천히 밀어주면 목 근육 강화에 도움이 된다. 목근육 이완운동은 양쪽 어깨에 힘을 줘 천천히 올렸다가 떨어뜨리기를 10회 반복하는것이 좋다. 목 돌리기 운동은 목에근육을 부드럽게 풀어주고 사용하지 않는 근육을 사용하는 운동인데 목을 시계방향으로 천천히 돌려주면 된다.
목디스크와 척추통증같은 경우에는 한방치료를 받는 환자도 많다. 양방에는 주사요법과 수술이 있다면 한방에서는 침을 이용해 목디스크를 치료한다. 도침시술은 일반 침과 비교해 끝 부분이 둥근 도침을 이용해 뭉친 근육을 풀고, 관절과 관절 사이에 공간을 확보해 통증을 완화하는 시술이다. 모든 척추질환 치료의 궁극적인 목적은 통증을 없애는 것이 첫번째이다. 그다음 저림, 마비를 없애는 것을 목적으로 치료한다.가장 궁극적인 목적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치료과정에서 두려움이 적고, 치료에 많은 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회복이 빨라야 한다는 것이다. 더 중요한 것은 평소 기능이 회복돼야 한다는 것이다. 목디스크는 퇴행성 변화가 주된 원인을 퇴행성 변화를 악화시키는 자세, 좋지 않은 습관을 피해야 한다. 운동을 하더라도 스트레칭 운동 전후에 확실히 한 후 운동을 하는 것이 목디스크를 예방과 악화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이다. 목디스 가장 큰 원인은 잘못된 자세를 반복하는 생활습관이다. 우리가 스마트한세상에 빠져 있는 동안 긴장된 목은 몸의 통증과 문제를 일으킨다. 바른자세와 가벼운 운동으로 건강을 찾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