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건강정보

갱년기 극복에 좋은 연근

뉴스붐 2016. 9. 15. 10:00
반응형

연근은 갱년기 극복에 도움이 되는 식재료이다.2미터 이상 깊은 땅속에서 자라는 뿌리채소 '흙 속의 진주'라고도 불린다.반찬으로 많이 먹는 친숙한 식재료이다.연근은 식이섬유와 비타민 등에 영양소가 고루 들어있다. 특히 연근에 끈적끈적한 성분인 뮤신은 위를 건강하게 해준다고 알려져 있다.한겨울인 12월에서 2월까지가 제철이다.여름에는 영양소가 잎하고 꽃으로 가기 때문에 여름에는 좋지 않고 겨울에는 영양소가 뿌리로 다 내려오면서 영양도 많을 뿐더러 식감이 좋다.연근에서 주목해야 할 점이 바로 하얀색이다.흰색을 나타내는 색소는 바로 안토크산틴이라고 하는 성분이다.이 색소는 항염증과 항산화 작용이 있다.안토그산틴이라고 하는 성분자체가 여성호르몬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갱년기 여성들의 생리분순에 좋고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폐경기 여성에 면역력 향상에도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갱년기 여성에게 좋은 식재료이다.연근에 풍부한 철분이 자궁의 피 생성을 돕고 자궁노화를 막는 역할을 한다.갱년기와 폐경으로 자궁건강이 안좋을때 섭취하면 좋다.껍질을 까서 파는 연근은 표백제를 쓰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항상 껍질이 있는 연근을 구입해야 한다.연근을 꾸준히 섭취하면 갱년기와 폐경에 도움이 될수 있다. 연근은 안토크산틴이라는 여성호르몬과 유사한 항산화 성분이 있어서 안코크산틴은 항염 작용을 하면서 혈관을 깨끗하게 해서 혈액순환에 도움을 주고 또한 철분 등이 풍부해 자궁 건강에 도움이 된다.꾸준히 기본적인 운동과 식이조절을 병행하면서 면역력을 높여주는 연근을 꾸준하게 섭취하면 몸의 순환이 좋아지면서 갱년기와 폐경에 도움을 준다.연근을 섭취할때에는 사과와 함께 섭취하면 좋다.진흙 속에 자라는 연근은 미네랄과 철분을 많이 빨아먹고 산다.그래서 철분 함량이 매우 풍부하다.이 철분이 새로운 피를 만들어 주는 조혈작용을 하기 때문에 여성 건강에 좋다. 다만 철분은 분자량이 커서 흡수가 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이때 유기산과 만나면 흡수하기 좋은 형태로 잘 쪼개진다.그래서 연근 속의 철분과 사과 속의 사과산이 만나면 천연 철분제로 작용할 수가 있다.피를 지속적으로 만들어서 공급해주고 또 자궁의 노화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연근에 사과즙을 넣으면 자연스러운 단맛은 물론 철분에 흡수율도 높혀서 갱년기 자궁 건강에 좋다.연근을 가루로 만들어서 섭취하면 좋다.연근가루와 찹살 가루랑 죽을 쑤는것을 우분죽이라고 한다.우분은 연근가루를 뜻하는 말로 햇볕에 말린 연근을 분쇄기에 갈아주면 쉽게 만들수 있다.연근 가루를 이용해 우분죽이라는 이름이 붙었다.조선시대 서적인 규합총서,임원십육지를 살펴보면 조선시대때부터 노인들과 갱년기 여성들 기력회복을 위해 먹었다는 기록이 존재한다.우분죽을 만드는 방법은 연근가루,찹쌀가루,꿀을 준비한다.먼저 종이컵을 기준으로 4컵 분량에 물을 부어주고 연근가루 역시 종이컵 분량으로 1컵,찹살가루 1컵을 넣고 잘 저어준다.그런다음 약불로 5분가량 끓여주면 완성된다.우리가 몸이 아플때 죽을 먹는것은 우리 몸에 소화흡수율을 높이기 위해서인데 우분죽또한 갱년기 여성들에게 좋은 성분과 철분에 소화흡수를 높여 자궁건강보양식이라고 할수 있다.마지막으로 꿀을 넣으면 자궁보양식이 완성된다.연근 섭취시 주의해야 할 점은 연근은 성질이 평하고 무독하기 때문에 다양하게 응용할수 있다.생연근은 특히 성질이 차기 때문에 평소에 비위가 냉하다든지 손발이 차고 설사를 자주 하시는 분들은 연근을 생으로 드셨을 때는 별로 좋지 않고 반드시 익혀서 드시는 것을 권한다.

반응형
댓글